정부가 강남3구와 용산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전세대출 규제까지 강화하면서,
최근 집을 산 사람들 사이에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어요. 계약 파기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목차
- 갑자기 분위기 규제…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 전세 끼고 집 산 사람들, 지금 어떤 상황일까?
- 계약 포기까지…매수자들 진짜 멘붕
- 급매 나온 강남, 23일엔 북새통
- 규제 피한 지역은? 일부는 기대감↑
- 전문가들은 뭐라고 할까?
1. 갑자기 분위기 규제…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서울 아파트값이 슬금슬금 오르더니, 정부가 갑자기 규제 스위치를 ‘ON’ 했습니다.
3월 24일부터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랑 용산구 아파트 전체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게 된 거예요.
이 말인즉슨, 앞으로는 이 지역 집을 사려면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
투기 막겠다는 건데, 문제는 너무 갑자기 발표돼서 이미 계약한 사람들은 정말 당황 중이에요.
2. 전세 끼고 집 산 사람들, 지금 어떤 상황일까?
요즘은 집값이 워낙 비싸니까, 전세를 끼고 먼저 집부터 사는 사람들이 많거든요.
그런데 이게 ‘조건부 전세대출’이라고 해서, 전세 세입자가 들어오면 그 보증금으로 잔금을 치르겠다는 구조인데…
이 조건부 전세대출이 갑자기 막혔어요 😨
노원구의 한 중개사무소 대표님이 말하길,
“보통 계약 후 1~2개월 안에 잔금을 내는데, 대출이 막혀서 잔금 못 내는 사람들이 속출하고 있어요.”
3. 계약 포기까지…매수자들 진짜 멘붕
마포구 아현동에서는 한 매수자가 후순위 대출이 안 나온다는 얘기에 결국 계약을 포기했대요.
이분은 직장 문제 때문에 바로 입주는 못 하고, 전세를 끼고 2년 뒤 실입주를 계획했던 건데…
갑자기 대출이 막히니까 계획이 완전히 틀어진 거죠.
심지어 집값은 이미 꽤 올랐는데 말이에요.
4. 급매 나온 강남, 23일엔 북새통
허가구역 지정 직전인 3월 23일에는 진짜 계약하려는 사람들로 북새통이었어요.
강남 잠실 쪽은 매도자들이 “지금 안 팔면 규제로 묶인다”며 가격을 3~4억 낮춰 급매로 내놨고,
매수자들은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며 전세 끼고 집 사려는 문의가 엄청났다고 해요.
잠실 아파트 84㎡가 32억까지 갔다가, 28억~29억에 거래된 사례도 꽤 많았다고 하네요.
5. 규제 피한 지역은? 일부는 기대감↑
이번 규제에서 빠진 강동구 둔촌동이나 목동 같은 재건축 예정 지역은 분위기가 좀 달라요.
오히려 “여긴 규제 안 걸렸으니까 괜찮은 거 아냐?”라는 기대감이 퍼지면서,
호가가 올라가거나 매물이 잠기기도 했대요.
목동은 특히 재건축 이슈도 있고, 실수요자들이 관심 갖는 곳이라 여전히 거래가 꾸준하다고 하네요.
6. 전문가들은 뭐라고 할까?
한 교수님은 이런 얘기를 해요.
“토지 투기 막자고 만든 제도를 갑자기 아파트 전체에 적용하는 건 좀 과도한 면이 있어요.”
애초에 지난달엔 강남 토허제를 풀어놓고, 집값 좀 오르니까 다시 조이는 건 정책 신뢰성에도 문제가 생긴다는 의견도 있어요.
실제로 지금은 집값보다 정책 변화가 더 무섭다는 얘기도 나오고요.
🧾 마무리
- 강남3구·용산구 아파트가 전면 규제 대상이 됐고
- 전세 끼고 집 샀던 사람들은 대출 막혀서 잔금 위기
- 갭투자자뿐 아니라 실거주 수요자들도 피해
- 비규제 지역은 풍선효과 기대감 있지만, 관망세도 커요
- 향후 규제 완화 논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어요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탄핵! 부동산 시장, 진짜 끝판왕 변수는 따로 있다 (0) | 2025.04.05 |
---|---|
강남3구·용산 전역,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갭투자 차단 🚫 (0) | 2025.03.19 |
강변강서아파트 재건축 본격화! 🚀 시공사 선정 임박 (0) | 2025.03.18 |
서울 집값 상승세, 외곽으로 번질까? 강남 vs 비강남 격차 커진다 (0) | 2025.03.17 |
2025년 서울 핵심 재건축 단지 분석: 최신 진행 상황 및 투자 가치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