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이야기

강남발 집값 급등, 서울-지방 초양극화현상… 앞으로 어떻게 될까?

A1pha 2025. 3. 13. 17:07
반응형

 

요즘 서울 집값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특히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강남과 비(非)강남 지역, 그리고 서울과 지방 간 부동산 양극화가 더 심해지고 있다.

집값이 오르는 것도 문제지만, 이렇게 특정 지역만 집중적으로 오르면 자산 격차가 더 커지고 사회적 갈등까지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도대체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걸까? 그리고 앞으로 집값은 어떻게 될까?


📈 강남 3구 집값, 1년 새 평균 3.7억 상승

최근 부동산 시장을 보면, 서울에서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서초구였다.

  • 서초구: 6억9500만 원 상승 (21.5억 → 28.5억)
  • 강남구: 3억6300만 원 상승 (23.4억 → 27.1억)
  • 송파구: 1억9400만 원 상승 (16.1억 → 18.1억)

강남 3구 평균 실거래가는 23.8억 원을 기록하며 작년보다 3.7억 원이나 뛰었다.

반면, 강남 3구를 제외한 서울 나머지 지역의 아파트 평균 가격은 10.1억 원으로, 1년 새 1.3억 원 상승(15.8%)에 그쳤다. 지방과 비교하면 격차는 더 크다.

📌 지난해 전국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1.44%였지만,
📌 서울은 8.02% 상승한 반면,
📌 지방은 오히려 1.34% 하락했다.

결국 강남과 서울, 수도권과 지방 간 집값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 집값 급등 ,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때문!

이번 강남발(發) 집값 상승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해제다.

특히, 지난달 12일 잠실·삼성·대치·청담동(‘잠삼대청’) 일대의 규제가 풀린 뒤 불과 9일 만에 강남 3구 아파트 평균 거래가격이 8% 상승했다.

같은 기간 강남 3구를 제외한 22개 구의 아파트 가격은 오히려 2.6% 하락했으니, 강남 쏠림 현상이 얼마나 심한지 알 수 있다.

이런 분위기에 금리 인하 기대감까지 더해지면서, 부동산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 2월 한 달간 주택담보대출 5조 원 증가
📌 가계대출 총액 1672조 원 돌파

집값이 뛰면서 대출도 덩달아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가계부채가 늘어나면 소비 여력이 줄어들고, 결국 내수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 강남발 상승세, 이제 ‘마·용·성’까지 번졌다!

이번 집값 상승은 강남 3구에서 끝나지 않고, 마포·용산·성동(마용성) 지역까지 확산되는 분위기다.

🔹 20억 원 이상 거래, 작년보다 2배 증가!

올해 1~3월 마용성에서 20억 원 이상에 거래된 아파트는 총 167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81건)보다 거의 2배 가까이 늘었다.

  • 마포구: 14건 → 44건 (3.1배 증가)
  • 성동구: 14건 → 50건 (3.5배 증가)
  • 용산구: 61건 → 73건 (1.2배 증가)

🔹 신고가 행진 중인 단지들

마용성에서도 인기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 LG한강자이(용산구 이촌동): 전용 171㎡ 42억 원 거래 (직전 35.2억 → 6.8억 상승)
  • 서울숲힐스테이트(성동구 성수동): 전용 117㎡ 29억 원 거래 (직전 24억 → 5억 상승)
  • 한강밤섬자이(마포구): 전용 138㎡ 30억 원 거래 (직전 21.8억 → 8.2억 상승)

이런 현상은 강남 3구의 가격이 너무 높아지면서, 수요가 마용성으로 분산된 결과로 해석된다.


🔮 앞으로 집값 어떻게 될까??

전문가들은 강남을 중심으로 한 집값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권영선 신한은행 부동산 애널리스트는
"토지거래허가제 해제가 강한 시그널이 되어 매수심리를 자극했다."
"앞으로 외곽 지역까지 확산될 수도 있지만, 특히 신축·대단지 아파트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는 양극화가 심화될 것"
이라고 분석했다.

📌 강남 3구 → 마용성 → 신축·대단지 위주 상승 전망
📌 지방 부동산 시장과의 격차 더 커질 가능성


⚠ 정부의 선제대응이 필요하지 않을까??

이제 중요한 건 정부의 대응이다.
지금처럼 특정 지역만 가격이 치솟으면, 결국 피해를 보는 건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서민층이 될 수밖에 없다.

금리·대출 규제 관리 – 가계부채 급증을 막기 위해 필요
주택 공급 확대 – 강남 쏠림을 막으려면 공급이 필수
지방 부동산 활성화 대책 마련 – 서울과 지방의 격차 완화

만약 지금 제대로 된 대응이 없다면,
집값 상승 → 가계부채 증가 → 소비 위축 → 경제 둔화
라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

이제 공은 정부와 시장에 넘어갔다.


 

반응형